JDBC란?

 

JDBC란 , 자바 언어로 다양한 종류의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하고 SQL문을 수행하여 처리하고자 할 때 사용되는 표준 SQL 인터페이스 API 입니다. JDBC는 자바의 표준 에디션에서 지원하는 기술로서, 접속하려는 DBMS 서버에 JDB 드라이버가 필요합니다.

 

연동과정

 

JDBC프로그램 - JDBC인터페이스 - JDBC드라이버 - DB

 

JDBC 인터페이스

 

JDBC 인터페이스는 JDBC 프로그램을 하기 위한 API들로서, SE에서 제공하는 java.sql 패키지를 의미합니다. JDBC 프로그램을 구현할 때 실제로 사용하는 객체들은 대부분 몸체가 없는 인터페이스 입니다.

 

JDBC 드라이버

 

실제 DB 관련 기능이 동작하려면 이 인터페이스 만으로는 작업할 수 없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java.sql의 인터페이스들을 상속하여 메소드의 몸체를 구현한 클래스 파일들이 필요하며 이 파일들을 JDBC드라이버 라고 합니다.

 

JDBC프로그램을 위해서는 우선 JDBC 드라이버가 준비되어 있어야 한다. JDBC드라이버는 DB가 설치된 폴더 또는 사용하는 DB를 제공하는 벤더사의 홈페이지에서 내려받을수 있습니다. 여기서는 오라클의 JDBC드라이버를 사용합니다.

 

JDBC드라이버를 가져왔으면 웹애플리케이션에서 자동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해줘야 한다. 자동으로 인식되는 곳은 두군데이다. 첫째는 WAS가 설치된 HOME 폴더 및의 lib 폴더이고, 둘째는 각 웹 애플리케이션 / WEB-INF/lib에 저장하면 WAS에서 실행되는 모든 웹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할수 있으며, /WEB-INF/ilb 폴더에 저장하면 해당 웹 애플리케이션에서만 사용할수 있습니다.

 

여기서는 WAS가 설치된 HOME 폴더의 lib 폴더에 JDBC 드라이버를 저장합니다.

1. 기초 적인 거 다시 처음부터 보기 2시간

 

2. 배운거 복습 하기

 

https://github 깃 허브로 로그인

 

*git 설치

 

- https://got-scm-com 

- 중간 우측 2.2.70 설치

 

https://github.com/new 로 들어가서 설정해야함

 

조원이 조장한태 아이디를 알려줘야 가능

 

Description이거는 뭔지 설명을 해줄때 써주면됨

 

spring 들어가서 - package explorer - 폴더 - properties 누르고 - Loaction  옆
아이콘 클릭후 workspace 말고 자바 자바 폴더 에서 - 오른쪽클릭
후 - git bush here

 

git bush here 누르고

 

git config -- global user.name "깃허브 아이디"

git config -- global user.email "깃허브 이메일"

 

 

 

 

java.io.BufferedOutputStream;

flex : 구부리다

width : 너비

height : 높이

alitgn-items: 수직정렬

display:inline : 양쪽

display: 한쪽으로만

text-align : 텍스트의 정렬 방향

  : 줄바꿈 없는 공백

background-color:배경색을 정하는 속성

vertical-align :  table-cell box에서의 수직 정렬

margin : 바깥쪽여백

padding: 안쪽 여백

text-align:center: 텍스트 가운대정렬

text-transform:uppercase: 소문자를 대문자로 바꿔줌

letter-spacing: 글자 사이의 간격을 조절

font-weight: 글꼴의 굵기를 지정함 (bold: 진하게 표시)(bolder:상위 요소에서 상속된 굵기보다 더 진하게)(lighter:상위요소에서 상속된 굵기보다더 흐리게)

 

 

 

○ section>nav*7a

 

 

 

세로로 정렬

 

 

<div class="modal-table">

<div class="modal-cell">

<div class="box">세로로 가운데 정렬</div>

</div>

</div>

 

 

여백 예시

 

margin : 20px : 같은 표현은 상하좌우 모두 20px 의미

margin  :30px 10px: 은 상하 30px , 좌우 10px을 의미

margin : 30px 10px 20px 50px :은 위 30px , 오른쪽 10px 아래 10px 왼쪽 50px 의미함

margin : 30px 10px 40px :은 위 30px, 좌우10px, 아래40px을 의미함

 

padding-bottom: 안쪽 여백 영역

padding-top: 위쪽 여백 영역

padding-right : 오른쪽

padding-left : 왼쪽

--------------------------------------------------------------------------------------------------------------------

< codesendbox > :홈페이지

 

dependcies : 의존성 <개발에서도필요하고 서비스에도필요함> "아이언맨에나오는 자비스 라고 생각하면됨"

 

devDependencies: 이건 개발할때만 필요함 

 

ex) 예시

  "devDependencies": {

    "serve": "^11.2.0"

  }

 

index.css 생성 중요:

 

index.css 생성후 edit 누르고 emmet 선택후 index.html에서 글 다 지운후에  ! 탭 하면다시 살아남

 

 

package.json 에서 남겨야 할것들

 

{

  "main": "index.html",

  "scripts": {

    "start": "serve",

  },

  "devDependencies": {

    "serve": "^11.2.0"

  }

}

 

+ Recent posts